 |
|
영웅본색
|
감독
|
오우삼 (1986 / 홍콩)
|
출연
|
주윤발,적룡,장국영
|
상세보기
|
|
|
기성세대의 오마주 영웅본색의 탄생은 홍콩의 시대적배경에서 찾아볼수 있다.
1997년 중국에 반환될 홍콩은 정치적,사회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던 시기며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 변화는 대다수 홍콩국민을 허무주의로 몰아갔을 것이다.
그런모습이 영화에 투영되어 홍콩느와르의 지평을 열은 계기가 되었다.
홍콩느와르의 최고영화 영웅본색도 암울했던 지난날 홍콩의 모습이 투영되었다고 보면된다.
[왕가위의 열혈남아는 그시절 홍콩의 사회적모습을 영화속 캐릭을 통해 가장 이상적으로 표현한 영화다.]
풍림각에서 벌어진 총격씬은 영웅본색의 최절정의 미장센
의리를 위해 단신으로 복수하는 마크의 모습은 그 시절 남자들의 묻지마 로망이였는지 모른다.
마크 총격씬 동선을 따라 배치된 총의 세심한 연출이 풍림각 총격씬을 세련되고 멋있게 만들었다.
성냥개비,말보루,바바리코트는 주윤발의 아이콘이다.
영웅본색의 핵은 송자호역을 맡은 적룡 이지만 마크역을 맡은 주윤발에게 모든 영광이 돌아간건
당연한 일이다.
성냥개비를 깨물고 말보루를 계속 피워대는 모습은 나도 모방하고 싶은 충동을 유발하고
의리를 위해 다친 다리에 동정심이 일어나고 의리를 위해 죽은 마크에 가슴이 뜨거워진다.
캐릭의 외적표현이 자연스러우면서도 포인트를 잘 살린 결과일 것 이다.
이효리가 섹시아이콘의 대명사라면 주윤발은 기성세대의 로망이였다.
형은 새 삶을 살 준비가 되었는데 넌왜 형을 용서할 용기가 없는거야..형제란...탕!!
형제의 엇갈린 운명,친구의 의리 단순한 스토리에서 관객을 열광시키는 파워는 어디서 나온걸까?
그건 바로 권선징악이 가져다 주는 카타르시스에 있다.
영웅본색 무적자로 다시태어 난다.
감독,배우 모두 부담을 가질수 밖에 없는 작품일 것 이다.
영웅본색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이 OST에는 손을 안됐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인물의 설정은 그대로 지만 내용은 좀 다르다고 하니 리메이크를 멋지게 했음한다.
기성세대들에겐 그 시절 추억을 만끽할수 있는 행복을, 젊은 세대에겐 무적자을
가슴에 품을수 있는 영화가 되길 바란다.